안녕하세요, Dseok입니다.
오늘은 2024년 웹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JavaScript 사용 트렌드를 심층적으로 분석해보려 합니다.
이번 분석은 HTTP Archive Web Almanac 2024 - JavaScript 챕터를 기반으로, 전 세계 수백만 개의 웹사이트 데이터를 통해 가장 최신의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로 작성했습니다.
웹 개발을 하면서 자주 고민하게 되는 JavaScript 성능, 사용량, 최신 기술 도입 등에 대한 궁금증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드릴 테니, 끝까지 집중해서 읽어주세요!
1. 2024년 JavaScript 사용량 폭발적 증가
먼저 2024년 웹 페이지의 JavaScript 사용량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
- 모바일 페이지 평균 558KB (2023년 대비 약 14% 증가)
- 데스크탑 페이지 평균 613KB (2023년 대비 약 14% 증가)
이는 웹사이트가 점점 더 많은 동적 기능, 인터랙션, 데이터 처리 기능을 포함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. 하지만 용량이 늘어난 만큼 페이지 로딩 속도, 사용자 경험, SEO 측면에서 성능 저하가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습니다.
결론: JavaScript 최적화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
2. 페이지당 JavaScript 파일 요청 수 증가
웹 페이지 하나가 요청하는 JavaScript 파일 수도 증가했습니다.
- 모바일: 평균 22개
- 데스크탑: 평균 23개
모듈화, 코드 분할이 보편화되면서 기능별로 스크립트를 나누는 것이 기본이 되었지만, 이로 인해 요청 수 증가와 함께 초기 로딩 지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개발자 Tip:
- 가능한 경우 번들러로 묶어서 요청 수 줄이기
- HTTP/2, HTTP/3 프로토콜 활용하기 (동시 요청 최적화)
3. JavaScript 비동기 로딩 (async, defer) 대세
성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비동기 로딩 속성 사용률이 급증했습니다.
- async: 87% (거의 모든 페이지에서 사용)
- defer: 47%
이제 스크립트를 동기 로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, 필수적인 일부 JS만 async, 나머지는 defer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페이지 렌더링 블로킹을 막기 위한 기본적인 필수 전략입니다.
개발자 Tip:
- 모든 외부 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defer 사용
- 꼭 필요한 즉시 실행 스크립트만 async
4. 최신 기능 도입: 동적 import()와 Web Workers 급증
동적 import()
- 3.7% (작년 0.34% → 3.7%, 10배 증가)
SPA,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진입 시 꼭 필요한 모듈만 동적으로 불러오는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. 성능 최적화에 필수.
Web Workers
- 30% (작년 12% → 30%, 2.5배 증가)
복잡한 연산, AI, 데이터 처리 등을 메인 스레드와 분리해서 처리하는 Web Workers 사용도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.
개발자 Tip:
- 대규모 연산, API 데이터 처리, 그래픽 작업 등에서 Web Worker 사용
- 무조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볍게 시작 후 필요 시 동적 import() 활용
5.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: 여전히 강력한 jQuery와 확산되는 React
라이브러리/프레임워크사용률 (2024)
jQuery | 74% |
React | 10% |
놀랍게도 jQuery는 여전히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. 특히 레거시 프로젝트나 간단한 UI 조작에서는 아직도 대세입니다.
반면, 신규 프로젝트, SPA, 복잡한 UI 애플리케이션에서는 React가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
개발자 Tip:
- 새로운 프로젝트라면 React, Vue.js, Svelte 같은 최신 프레임워크 추천
- jQuery 사용 프로젝트라면 성능 최적화와 보안 업데이트 필수
6. 웹 컴포넌트와 Shadow DOM 사용 확대
기술사용률 (2024)
Custom Elements | 7.8% |
Shadow DOM | 2.5% |
디자인 시스템, 재사용 가능한 UI 개발에서 웹 컴포넌트와 Shadow DOM 사용이 확산되고 있습니다.
복잡한 UI를 모듈화하고 스타일, 동작을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개발자 Tip:
- 컴포넌트 단위로 복잡한 UI 개발 시 적극 도입
- Shadow DOM으로 스타일 충돌 방지
7. 번들러(Webpack)와 트랜스파일러(Babel) 사용 현황
도구사용률 (2024)
Webpack | 5% |
Babel | 12% (상위 10,000개 사이트 기준) |
Webpack은 여전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번들러이지만, 일부 상위 사이트에서는 모듈화 트렌드에 따라 간소화 시도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
Babel은 여전히 ES6+ 최신 문법과 레거시 브라우저 호환성 유지에 사용 중입니다.
8. 2024년 JavaScript 트렌드 총정리 (표)
항목주요 수치
모바일 JS 용량 | 558KB (14% 증가) |
데스크탑 JS 용량 | 613KB (14% 증가) |
페이지당 JS 요청 | 모바일 22개, 데스크탑 23개 |
async 사용 | 87% |
defer 사용 | 47% |
동적 import() 사용 | 3.7% (10배 증가) |
Web Workers 사용 | 30% (2.5배 증가) |
jQuery 사용 | 74% |
React 사용 | 10% |
Custom Elements | 7.8% |
Shadow DOM | 2.5% |
✅ 결론: 개발자가 기억해야 할 5가지
- JavaScript 사용량 증가로 성능 관리 필요.
- 비동기 로딩과 모듈화로 빠른 페이지 제공.
- 동적 import와 웹 워커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최적화.
- 모던 프레임워크 (React, Vue.js) 중심의 개발.
- 웹 컴포넌트로 유지보수와 확장성 확보.
마무리
2024년 JavaScript 트렌드는 많이 사용하는 시대에서, 효율적으로 똑똑하게 사용하는 시대로 전환되고 있습니다.
더 많은 기능을 더 빠르게 제공하는 것이 관건이며, 성능 최적화가 곧 사용자 경험 경쟁력이 되는 시대입니다.
여러분의 웹사이트는 이러한 최신 트렌드에 맞춰 최적화되어 있나요?
이번 기회를 통해 여러분의 JavaScript 사용 방식을 돌아보시고, 더 빠르고 효율적인 웹 개발을 실천하시길 바랍니다.
좋아요❤️와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을 나눠주세요!
더 많은 최신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. 감사합니다!
'꿀팁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seok의 코딩스터디] 웹사이트 로딩 속도 최적화: 빠른 페이지 로딩을 위한 7가지 핵심 전략 (1) | 2025.03.07 |
---|---|
[Dseok의 코딩스터디]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- 윈도우에서 npm으로 Vue와 React가 설치가 안된다면?! (0) | 2025.02.24 |
[Dseok의 코딩스터디] prettier 사용법: html과 css는 제외 (1) | 2024.09.14 |
[Dseok의 코딩스터디] vscode 유용한 플러그인 Part01. (2) | 2023.08.08 |